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시사칼럼

하나의 테마, 360도 관점

  • [시작] '생각'의 탄생 : 최초의 철학자들

    [시작] '생각'의 탄생 : 최초의 철학자들

    ㅣ'생각'의 탄생 최초의 철학자들 ▲ 솔론(Solon)의 모습. 미국 국회의사당의 미국 하원 회의실에 걸린 23인의 법전 제전자 부조 중 하나. (wikipedia...


    안광복

    [시작] '생각'의 탄생 : 최초의 철학자들

        ㅣ'생각'의 탄생    최초의 철학자들   ▲ 솔론(Solon)의 모습. 미국 국회의사당의 미국 하원 회의실에 걸린 23인의 법전 제전자 부조 중 하나. (wikipedia.org 제공)   “짧게, 올곧은 말을 하라." 리...

  • [한 페이지 필사] 호미예찬

    [한 페이지 필사] 호미예찬

    ㅣ한 페이지 필사 ‘꼭꼭’ 마음으로 읽고 ‘꾹꾹’ 손으로 써보는 시간 ㅣ호미예찬 호미는 남성용 농기구는 아니다. 주로 여자들이 김 맬 때 쓰는 ...


    장석주

    [한 페이지 필사] 호미예찬

        ㅣ한 페이지 필사 ‘꼭꼭’ 마음으로 읽고 ‘꾹꾹’ 손으로 써보는 시간     ㅣ호미예찬   호미는 남성용 농기구는 아니다. 주로 여자들이 김 맬 때 쓰는 도구이지만 만든 것은 대장장이니까 남자들의 작품...

  • [우리 엄마밥] 메이플 타피

    [우리 엄마밥] 메이플 타피

    ㅣ우리 엄마밥 '엄마'와 '엄마 음식'에 관한 소소(小笑)한 이야기 메이플 타피▲ 메이플 타피 눈이 내리면 밖으로 뛰쳐나갔다. 엄마는 내가 눈에 이끌리는...


    문인혁

    [우리 엄마밥] 메이플 타피

        ㅣ우리 엄마밥 '엄마'와 '엄마 음식'에 관한 소소(小笑)한 이야기   메이플 타피 ▲ 메이플 타피   눈이 내리면 밖으로 뛰쳐나갔다. 엄마는 내가 눈에 이끌리는 것처럼 나를 쫓아 나왔다. 엄마의 손에는 늘...

  • 사물 180

    [사물 180˚] - 2

    사물 180˚____일상의 사물을 ‘새롭게’ ‘낯설게’ 생각해보는 순간! ㅣ책 책을 쓴 사람은 있지만, 책은 그의 소유가 아니다. 책은 저자가 마침표를 ...


    함돈균

    [사물 180˚] - 2

        사물 180˚____일상의 사물을 ‘새롭게’ ‘낯설게’ 생각해보는 순간!       ㅣ책   책을 쓴 사람은 있지만, 책은 그의 소유가 아니다. 책은 저자가 마침표를 찍고 출간되는 순간, 모두에게 개방된 공적...

  • 인문(人文)은 ‘인간다움’을 추구한다

    인문(人文)은 ‘인간다움’을 추구한다

    기획노트

    사진=이한구 작가 영어 단어 ‘humanities’는 ‘인문학’으로도 번역하지만, 보다 포괄적으로 ‘인문(人文)’이란 말로 번역하기도 한다. ‘인...


    함돈균

    인문(人文)은 ‘인간다움’을 추구한다

    기획노트

    사진=이한구 작가   영어 단어 ‘humanities’는 ‘인문학’으로도 번역하지만, 보다 포괄적으로 ‘인문(人文)’이란 말로 번역하기도 한다. ‘인간에 관한 것들’이라는 복수를 사용했듯이 ‘인문’은 사람살이의 ...

  • 나의 첫번째 소원

    나의 첫번째 소원

    나의 첫 번째 새로운 소원

    요즘 자주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몇 년 전에 제주도에서 취재했던 할머니다. 내가 만났을 때 그녀는 몇 살이나 먹었을까? 아마 칠십대 후반이었을 것...


    정혜윤

    나의 첫번째 소원

    나의 첫 번째 새로운 소원

          요즘 자주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몇 년 전에 제주도에서 취재했던 할머니다. 내가 만났을 때 그녀는 몇 살이나 먹었을까? 아마 칠십대 후반이었을 것으로 기억이 난다. 그녀는 그보다 젊었을 때도 당신은...

  • 인문정신은 건강한 시민사회에 대한 모색이다

    인문정신은 건강한 시민사회에 대한 모색이다

    사진=이한구 작가 ‘인문(人文)’은 ‘사람의 무늬’란 뜻이다. 동아시아의 고전 〈주역(周易)〉에서 처음 발견되는 ‘인문’이란 말은 ‘천문(...


    함돈균

    인문정신은 건강한 시민사회에 대한 모색이다

    사진=이한구 작가   ‘인문(人文)’은 ‘사람의 무늬’란 뜻이다. 동아시아의 고전 <주역(周易)>에서 처음 발견되는 ‘인문’이란 말은 ‘천문(天文)’ ‘지문(地文)’과 비슷한 위상에서 사용되었다. 옛사람들은 ...

  • [드론 인문학] SF는 우리의 미래를 내다보는 창인가?

    [드론 인문학] SF는 우리의 미래를 내다보...

    ㅣ드론인문학 SF는 우리의 미래를 내다보는 창인가? 지난 10월 21일이 혹시 무슨 날이었는지 아시는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딱히 국경일도, 기념일...


    김명진

    [드론 인문학] SF는 우리의 미래를 내다보...

        ㅣ드론인문학    SF는 우리의 미래를 내다보는 창인가?   지난 10월 21일이 혹시 무슨 날이었는지 아시는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딱히 국경일도, 기념일도 아니었던 이 날이 무슨 특별한 날이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