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문화 포럼'은 코로나19 이후의 급속한 사회, 문화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일상의 변화를 살펴보고 발전적인 미래를 향한 인문적 해법을 모색하기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지난 2020년 12월 3일(목) 제1회 「인간과 문화 포럼」이 열렸습니다. 제1회 ‘인간과 문화’는 <코로나 시대의 인간과 문화>를 주제로 코로나19로 변화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회, 문화적 키워드를 여러 각도에서 고찰하며 우리의 삶과 나, 이웃, 관계에 대한 인문적 담론을 확산하고자 하였습니다.
제1회 「인간과 문화」 포럼은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의 페이스북과 한국출판산업진흥원의 인문360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를 동시에 진행하였습니다.
장동석 출판평론가의 사회로 진행된 「인간과 문화」 포럼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1부의 발제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의 이광석 교수님이 '바이러스 재난사회 - 일상과 문화의 위기 너머 공통감각의 확장법' 이라는 주제로 발표해주셨습니다.
이광석 교수님의 발제에 이어 토론에서는 '코로나 이후의 삶, 그리고 우리 사회'라는 주제로 제주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이소영 교수님과 지식큐레이터 전병근님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2부의 발제는 궁금한뇌연구소의 장동선 박사님이 '비대면 문화 속 관계변화와 사회적 영향 - 뇌는 사람이 중요하다' 라는 주제로 발표해주셨습니다.
토론 시간에는 '비대면 문화 속 인간성과 진정성 찾기' 라는 주제로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김찬호 교수님과 말마음연구소의 김윤나 소장님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인간과 문화」 포럼 1회차의 중계영상 편집본은 인문360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제1회 포럼 돌아보기
2020-12-22
ㅣ제1회 「인간과 문화」 포럼 '코로나 이후 인간과 문화'
'인간과 문화 포럼'은 코로나19 이후의 급속한 사회, 문화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일상의 변화를 살펴보고 발전적인 미래를 향한 인문적 해법을 모색하기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지난 2020년 12월 3일(목) 제1회 「인간과 문화 포럼」이 열렸습니다. 제1회 ‘인간과 문화’는 <코로나 시대의 인간과 문화>를 주제로 코로나19로 변화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회, 문화적 키워드를 여러 각도에서 고찰하며 우리의 삶과 나, 이웃, 관계에 대한 인문적 담론을 확산하고자 하였습니다.
제1회 「인간과 문화」 포럼은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의 페이스북과 한국출판산업진흥원의 인문360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를 동시에 진행하였습니다.
장동석 출판평론가의 사회로 진행된 「인간과 문화」 포럼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1부의 발제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의 이광석 교수님이 '바이러스 재난사회 - 일상과 문화의 위기 너머 공통감각의 확장법' 이라는 주제로 발표해주셨습니다.
이광석 교수님의 발제에 이어 토론에서는 '코로나 이후의 삶, 그리고 우리 사회'라는 주제로 제주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이소영 교수님과 지식큐레이터 전병근님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2부의 발제는 궁금한뇌연구소의 장동선 박사님이 '비대면 문화 속 관계변화와 사회적 영향 - 뇌는 사람이 중요하다' 라는 주제로 발표해주셨습니다.
토론 시간에는 '비대면 문화 속 인간성과 진정성 찾기' 라는 주제로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김찬호 교수님과 말마음연구소의 김윤나 소장님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인간과 문화」 포럼 1회차의 중계영상 편집본은 인문360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제1회 포럼 돌아보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제11회 포럼 연사 추천도서
제2회 인간과 문화 포럼 돌아보기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