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락이 수줍게 보랏빛 꽃내음을 내뿜던 봄날, 지인의 권유로 대구문화재단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인생나눔교실’을 만나게 되었다. 바이올린 전공으로 연주 활동과 후배 양성, 봉사활동 등 반복되는 가운데 ‘인생나눔교실’은 나에게 새로운 활력소처럼 또 다른 설렘으로 다가왔다. 50대 중반이라는 나이에 멘티들과 함께 나눌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사회 초년생 시절 작성하던 이력서를 적어내려가면서 나를 다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서류 합격 후 면접을 보고 합격 통보를 받았다. 맹구처럼 괜히 웃음이 실실 나고 성취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 후, 튜터 선생님과 함께 기관 사전답사를 하고 프로그램 수정도 하면서 시간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을 만큼 빠르게 지나간 것 같다.
지령! 아름다운 지역 아동센터의
멘티들과 첫 접선을 시도하시오.
2021년 7월 6일 화요일 16:00. 아랑곳없이 울어대는 매미 소리와 뜨겁게 내리쬐는 햇볕이 아름다운 지역 아동센터로 향하는 나에게 긴장감을 안겨주었다. 두 손에는 커다란 가방 2개를 쥐고 쿵쿵거리는 심장과 함께 다소 작은 2층 다락방으로 올라갔다. 미로처럼 끝이 없을 것만 같던 계단이 끝날 즈음, “누구세요?”라고 하는 새까만 눈망울들과의 첫 만남이었다. 인생나눔교실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멘티들과 ‘나는요’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시간을 가졌다.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아름다운 지역아동센터> 이미지 v.1
‘우리 함께’를 만들게 된
계기와 에피소드
10회차 프로그램을 계획하면서 음악을 접목시켜 함께 나누고 누릴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찾아보는 가운데 인생나눔교실에 대한 주제곡이 없어서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멘티들과 놀이를 통한 영남권 인생나눔교실 주제곡을 만들어 좋은 추억을 남겨주고 싶었다.
정육면체 주사위 2개를 던져 다 같이 악보를 만들었다. 하나의 주사위에는 음표, 또 다른 하나에는 숫자(악보)가 적혀 있는데 던져서 나온 음표와 숫자가 하나의 악보가 된다. 각자 한마디에 해당하는 나만의 악보를 만들고, 서로의 악보를 합쳐 완성된 하나의 곡 ‘우리 함께’가 완성되었다. ‘칼림바’라는 악기를 통해서 멘티들이 ‘나, 너, 우리’의 함께 나누는 인생과 함께 누리는 행복을 연주하는 시간을 가졌다.
곡이 완성되고 난 후, 자신의 연주를 들으며 해냈다는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는 프로그램이었고 멘티들도 부모님에게 자랑하면서 너무 좋아했다. 멘티들이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했다. “선생님, 저작권료 제 통장으로 바로 주셔야 해요! 선생님만 하면 안돼요!”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아름다운 지역아동센터> 이미지 v.2
마무리하며...
멘토로서 내가 살아온 인생을 나누었는데 멘티들의 사랑이 메아리로 돌아와서 나 또한 성장하는 시간이었다.하늘 아래 내가 받은 가장 커다란 선물은 ‘인생나눔교실’이며, 그 선물 가운데서도 가장 아름다운 선물은 ‘나의 멘티’들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인사이드 인생나눔교실 #9 <우리는 하나, 함께 할 수 있어요-한은교 멘토>' 저작물은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COPYRIGHT (C)2015 Arts council Korea. ALL RIGHT RESERVED.
인사이드 인생나눔교실#9 <우리는 하나, 함께할 수 있어요- 한은교 멘토>
2022-03-17
안녕하세요 인생나눔교실입니다.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에 활동하고 계시는
멘토 · 멘티 · 튜터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그럼, 인사이드 인생나눔교실 아홉 번째
주인공을 확인해 볼까요?
인사이드 인생나눔교실 아홉 번째 시간
<우리는 하나, 함께 할 수 있어요.>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영남권 한은교 멘토
사랑의 바이올린_바이올린강사
(사)한국음악교육협회 수석교육이사
드림아트 음악치료사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한은교 멘토
‘인생나눔교실’을 시작하게 된
계기와 첫인상
라일락이 수줍게 보랏빛 꽃내음을 내뿜던 봄날, 지인의 권유로 대구문화재단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인생나눔교실’을 만나게 되었다. 바이올린 전공으로 연주 활동과 후배 양성, 봉사활동 등 반복되는 가운데 ‘인생나눔교실’은 나에게 새로운 활력소처럼 또 다른 설렘으로 다가왔다. 50대 중반이라는 나이에 멘티들과 함께 나눌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사회 초년생 시절 작성하던 이력서를 적어내려가면서 나를 다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서류 합격 후 면접을 보고 합격 통보를 받았다. 맹구처럼 괜히 웃음이 실실 나고 성취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 후, 튜터 선생님과 함께 기관 사전답사를 하고 프로그램 수정도 하면서 시간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을 만큼 빠르게 지나간 것 같다.
지령! 아름다운 지역 아동센터의
멘티들과 첫 접선을 시도하시오.
2021년 7월 6일 화요일 16:00. 아랑곳없이 울어대는 매미 소리와 뜨겁게 내리쬐는 햇볕이 아름다운 지역 아동센터로 향하는 나에게 긴장감을 안겨주었다. 두 손에는 커다란 가방 2개를 쥐고 쿵쿵거리는 심장과 함께 다소 작은 2층 다락방으로 올라갔다. 미로처럼 끝이 없을 것만 같던 계단이 끝날 즈음, “누구세요?”라고 하는 새까만 눈망울들과의 첫 만남이었다. 인생나눔교실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멘티들과 ‘나는요’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시간을 가졌다.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아름다운 지역아동센터> 이미지 v.1
‘우리 함께’를 만들게 된
계기와 에피소드
10회차 프로그램을 계획하면서 음악을 접목시켜 함께 나누고 누릴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찾아보는 가운데 인생나눔교실에 대한 주제곡이 없어서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멘티들과 놀이를 통한 영남권 인생나눔교실 주제곡을 만들어 좋은 추억을 남겨주고 싶었다.
정육면체 주사위 2개를 던져 다 같이 악보를 만들었다. 하나의 주사위에는 음표, 또 다른 하나에는 숫자(악보)가 적혀 있는데 던져서 나온 음표와 숫자가 하나의 악보가 된다. 각자 한마디에 해당하는 나만의 악보를 만들고, 서로의 악보를 합쳐 완성된 하나의 곡 ‘우리 함께’가 완성되었다. ‘칼림바’라는 악기를 통해서 멘티들이 ‘나, 너, 우리’의 함께 나누는 인생과 함께 누리는 행복을 연주하는 시간을 가졌다.
곡이 완성되고 난 후, 자신의 연주를 들으며 해냈다는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는 프로그램이었고 멘티들도 부모님에게 자랑하면서 너무 좋아했다. 멘티들이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했다. “선생님, 저작권료 제 통장으로 바로 주셔야 해요! 선생님만 하면 안돼요!”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아름다운 지역아동센터> 이미지 v.2
마무리하며...
멘토로서 내가 살아온 인생을 나누었는데 멘티들의 사랑이 메아리로 돌아와서 나 또한 성장하는 시간이었다. 하늘 아래 내가 받은 가장 커다란 선물은 ‘인생나눔교실’이며, 그 선물 가운데서도 가장 아름다운 선물은 ‘나의 멘티’들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인사이드 인생나눔교실 #9 <우리는 하나, 함께 할 수 있어요-한은교 멘토>' 저작물은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COPYRIGHT (C)2015 Arts council Korea. ALL RIGHT RESERVED.
■ 출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생나눔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arko2010
■ 제공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문의 지역협력부 02-739-3946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