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언더그라운드 음악으로 시작된 ‘그라임’은 이제 하나의 경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초반 음악적 커리어를 그라임으로 시작해 주목받는 음악가가 있다. 바로 댐데프다.
▲ 댐데프
Q. 자신을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A. 저는 한국 유일의 그라임 아티스트입니다
Q. 과거 네스, 그리고 unorthought, 지금 댐데프(Damndef)로 닉네임이 변했는데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A. 제 자신이 어떤 사물에 관해 통찰력을 갖는 걸 원하는데 '네스'라는 뜻이 프랑스어로 눈이라는 뜻이어서 사용하다가 그 눈이 신체의 눈이 아니라 하늘에서 내리는 눈이라는 걸 깨달았죠.(웃음) 그러다가 unorthought로 변경했는데 발음도 그렇고, 다른 분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워 하시는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단순히 ‘엄청 멋진’이란 뜻의 Damndef로 변경 하게 되었습니다.
▲ 댐데프
Q. 자신이 공개한 작업물들 중 의미가 깊은 작업과 그 이유는?
A. 모든 작업물에 의미가 있지만 그래도 가장 의미가 깊은 건 이에요. 영국 sbtv 채널에 소개되며, 그라임 이라는 장르를 대표하던 아티스트라고 언급 되었고, 제 커리어 자체가 바뀌게 된 프로젝트였습니다. 처음 뮤직비디오를 찍게 된 프로젝트이기도 하고요
Q. 음원 스트리밍으로 재편된 현재의 음악시장을 어떻게 바라보시나요?
A. 스트리밍으로 재편된 시장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아요.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의 발전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당연한 흐름이라고 생각해요. 이 흐름을 반대하고 싶지 않아요. 물론 이 흐름을 반대하는 의견도 이해는 되지만 피할 수 없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더 얘기하고 싶은 건 음악을 듣던 매체에 청자의 경험이나 추억이 있어서 거기서 오는 감동은 있겠겟지만 이 스트리밍의 거대한 흐름은 거부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Q. 사운드 클라우드를 이용하게 된 시기, 이유,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시나요?
A. 2011년쯤이었던 거 같습니다. 프로모션 채널의 일환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저의 사운드 클라우드에는 공식, 비공식 모든 음원들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 sbtv 채널
Q. 각각의 플랫폼들의 성격이 달라 보이는데 그 플랫폼들을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A. 저는 음악을 시각화 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에게 제일 잘 맞는 플랫폼은 유투브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사운드 클라우드의 주류음악은 미국발 음악이라고 생각하는데, 제가 하고 있는 장르인 그라임의 특성상 단순히 오디오보다는 비디오와 오디오의 결합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영국이던 미국이던 영상들을 항상 체크하며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독립적인 아티스트로 초반 커리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돌파방법이 있다면?
A. 예전엔 상상도 못했던 국내외 아티스트들과 작업을 하고 있어요. 전 똑같이 인디펜던트이긴 한데 음악 산업전반적인 시야가 넓어지게 되었고, 나름의 돌파방법이라면 전략적으로 거물급 뮤지션들을 앨범에 참여시키고 싶어요. 그리고 저와 생각과 비전이 맞는 팀을 꾸리고 싶습니다.
한국 유일의 그라임 아티스트 댐데프(Damndef)
2018-01-29
영국의 언더그라운드 음악으로 시작된 ‘그라임’은 이제 하나의 경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초반 음악적 커리어를 그라임으로 시작해 주목받는 음악가가 있다. 바로 댐데프다.
▲ 댐데프
Q. 자신을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A. 저는 한국 유일의 그라임 아티스트입니다
Q. 과거 네스, 그리고 unorthought, 지금 댐데프(Damndef)로 닉네임이 변했는데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A. 제 자신이 어떤 사물에 관해 통찰력을 갖는 걸 원하는데 '네스'라는 뜻이 프랑스어로 눈이라는 뜻이어서 사용하다가 그 눈이 신체의 눈이 아니라 하늘에서 내리는 눈이라는 걸 깨달았죠.(웃음) 그러다가 unorthought로 변경했는데 발음도 그렇고, 다른 분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워 하시는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단순히 ‘엄청 멋진’이란 뜻의 Damndef로 변경 하게 되었습니다.
▲ 댐데프
Q. 자신이 공개한 작업물들 중 의미가 깊은 작업과 그 이유는?
A. 모든 작업물에 의미가 있지만 그래도 가장 의미가 깊은 건이에요. 영국 sbtv 채널에 소개되며, 그라임 이라는 장르를 대표하던 아티스트라고 언급 되었고, 제 커리어 자체가 바뀌게 된 프로젝트였습니다. 처음 뮤직비디오를 찍게 된 프로젝트이기도 하고요
Q. 음원 스트리밍으로 재편된 현재의 음악시장을 어떻게 바라보시나요?
A. 스트리밍으로 재편된 시장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아요.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의 발전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당연한 흐름이라고 생각해요. 이 흐름을 반대하고 싶지 않아요. 물론 이 흐름을 반대하는 의견도 이해는 되지만 피할 수 없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더 얘기하고 싶은 건 음악을 듣던 매체에 청자의 경험이나 추억이 있어서 거기서 오는 감동은 있겠겟지만 이 스트리밍의 거대한 흐름은 거부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Q. 사운드 클라우드를 이용하게 된 시기, 이유,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시나요?
A. 2011년쯤이었던 거 같습니다. 프로모션 채널의 일환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저의 사운드 클라우드에는 공식, 비공식 모든 음원들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 sbtv 채널
Q. 각각의 플랫폼들의 성격이 달라 보이는데 그 플랫폼들을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A. 저는 음악을 시각화 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에게 제일 잘 맞는 플랫폼은 유투브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사운드 클라우드의 주류음악은 미국발 음악이라고 생각하는데, 제가 하고 있는 장르인 그라임의 특성상 단순히 오디오보다는 비디오와 오디오의 결합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영국이던 미국이던 영상들을 항상 체크하며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독립적인 아티스트로 초반 커리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돌파방법이 있다면?
A. 예전엔 상상도 못했던 국내외 아티스트들과 작업을 하고 있어요. 전 똑같이 인디펜던트이긴 한데 음악 산업전반적인 시야가 넓어지게 되었고, 나름의 돌파방법이라면 전략적으로 거물급 뮤지션들을 앨범에 참여시키고 싶어요. 그리고 저와 생각과 비전이 맞는 팀을 꾸리고 싶습니다.
Damndef의 비디오 링크
Damndef – do it
https://www.youtube.com/watch?v=giea5R9RotA
Damndef – do it remix (feat moldy, j-mal,Catarrh Nisin)
https://www.youtube.com/watch?v=akbmm-4O0_s
Damndef(댐데프) x Lobotome(로보토미) - No Brother
https://www.youtube.com/watch?v=bdgWrxZB4lU
Damndef x Tre Mission - Don`t Need
https://www.youtube.com/watch?v=eMDNbRImcGI
Damndef x Boss Mischief - Black & Goonie
https://www.youtube.com/watch?v=l8ttdfd86hg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