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인문 소모임

인문360°는 여러 인문소모임의 주체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리 소모임의 활동을 아카이빙하며 인문의 가치를 누리고 함께 소통하세요!
*게시판 관련 문의: inmun360@arko.or.kr

우리 주위에 벌레가 있다.

2024-03-18

갑돌

우리 주위에 벌레가 있다.

 

벌레를 사랑하는 기분, 정부희

 

저자는 시골에서 자라서 늘 벌레와 함께 살았지만, 관심을 두지 않았다. 어느 순간 벌레의 이름이 궁금해지고 곤충을 연구하기로 결심한다. 나이 40에 문과생인 그가 생물학과에 입학하고 벌레학자가 되기까지의 험난한 과정을 소개한다.

 

벌레마다 자기가 먹는 식물이 따로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우리가 해충과 익충을 구별하고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관점이다. 모두가 필요한 먹이사슬로서 천적도 있고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생소한 곤충학을 연구하면서 그는 독보적인 존재가 된다. 사람이 무엇인가 한 가지에 빠지는 것은 좋은 현상이다. 이제까지 식물에 대한 책은 많이 있었지만, 곤충에 대한 책은 적었다. 그는 공부할 때도 일본 서적을 많이 참고하였다. 그는 곤충을 연구하기 위해 산과 들 여러 곳을 다니면서 채집하고 실험하고 사진을 찍었다. 우리가 이제까지 잘 몰랐던 곤충의 세계를 보여준다. 베짱이가 노래하는 것은 암컷을 부르는 소리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식물과 곤충의 신비한 세계에 빠지게 된다.

 

자기를 지키기 위해 똥을 품고 사는 애벌레나 진한 색으로 몸을 비추는 곤충을 보면 자연의 세계는 신비로울 수밖에 없다. 곤충의 울음소리를 들으면서 무엇보다도 아름다운 음악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제까지 혐오와 징그러움으로 알았던 곤충의 세계를 알게 해준 이 책이 고맙다. 개발로 인해 점점 사라져가는 곤충을 다시 불러들여야 하겠다고 생각 한다. 100만 종 곤충의 종류를 보면서 무심코 보았던 곤충과 벌레를 다시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저자의 곤충을 연구한 많은 세월의 흔적을 보면서 주부의 역할을 포기하고 연구자의 삶에 박수를 보낸다.

 

자연은 식물이 있고 벌레와 곤충이 있어 더욱 아름답다. 우리 주위의 벌레 소리가 없고 곤충이 없다면 얼마나 삭막할까를 느낀다. 벌레와 곤충은 우리의 이웃이다. 어린이들이 벌레와 곤충과 함께 자연에서 뛰어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자는 곤충의 대중화에 노력한 사람이다. 이 책을 통해 더욱 곤충의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어서 좋다.

공공누리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우리 주위에 벌레가 있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2)

0 / 500 Byte

조** 사진 이미지

조**

2024-03-19

벌레를 싫어하는 편이었습니다. 그런데 벌레는 하나의 생명체로 우리와 같은 삶을 사는 것만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저자의 벌레에 대한 관심 존경스럽습니다.저도 그 책 읽어보아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배** 사진 이미지

배**

2024-03-21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