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인문 소모임

인문360°는 여러 인문소모임의 주체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리 소모임의 활동을 아카이빙하며 인문의 가치를 누리고 함께 소통하세요!
*게시판 관련 문의: inmun360@arko.or.kr

『생각 중독』

2024-03-22

갑돌

생각 중독

 

                     2024.4.11. 닉 트렌턴, 갤리온, 2024

자유 논제

 

불안과 후회를 끊어내고 오늘을 사는 법이라는 생각 중독을 어떻게 읽으셨나요?

 

생각을 마음먹은 대로 컨트롤할 수는 없다. 멈추는 일은 더욱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생각이 많다는 게 문제라고 할 수가 없다. 하지만 그 생각이 끊임없이 나를 괴롭힌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 과잉은 스트레스로 작용해 정신과 신체를 소진하게만든다.

 

티베트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불편한 생각을 많이 한다고 그 생각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당장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우리는 걱정을 멈추지 못한다. 걱정하며 준비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식으로 자신의 걱정에 보상을 매긴다면 더더욱 생각 중독에 빠지게 된다.(P.4)

별점

☆☆☆☆☆

읽은 소감

 

 

2. 책 속에 인상 깊은 문장이나 내용을 소개해 주세요.

 

발췌 1

 

발췌 2

 

 

3. 4A 스트레스 관리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4A는 회피A, 변경Alter, 수용Accept, 적응Adapt을 말한다. 무언가를 회피한다는 것은 통제할 수 없는 일에서 단순히 벗어나는 것을 뜻한다. 노력할 가치가 없어 환경에서 완전히 없애는 게 가장 좋은 일도 있다. 하지만 피할 수 없다면 환경을 변경해 스트레스 요인을 없애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환경을 바꿀 수 없다면 수용할 수 밖에 없다. 끝으로 지금 처한 상황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면 그 상황에 적응해야 하고 스트레스 요인에 대처하는 법과 스트레스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 가능성을 최소화할 방법을 배워야 한다.(P.86)

 

 

 

4. 스트레스 일기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하나요?

 

스트레스 일기의 효과를 발휘하게 할 유일한 비결은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다. 단순히 감정을 분출하고 불평만 해서는 안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건강하고 균형 잡힌 표현으로 바꾸도록 해야 한다. ‘이 모든 일에서 무엇을 얻는가? 이 상황이 어떻게 내게 이득이 되는가?라는 식의 직접적인 질문도 괜찮다(P.67)

 

5. 아이젠하워식 시간관리법을 말하고 있다. 여기에 대해 여러분은 잘 하고 있나요?

 

중요하고 급한 일: 즉시 처리한다.

중요하지만 급하지는 않은 일: 일정표에 추가한다.

중요하지는 않지만 급한 일: 다른 사람에게 위임한다.

중요하지도, 급하지도 않은 일: 삭제하거나 무시한다.

 

6. 쉬지 않고 지껄여대는 지긋지긋한 친구 반추에 대해 여러분의 경험을 이야기해 보세요.

 

본질적으로 반추는 생각 과잉이다. 생각을 가루가 될 정도로 씹어대는 일은 비생산적이다. 대개 오래된 기억을 끄집어 내면(주로 부정적인) 다른 기억을 불러일으켜 주의가 산만해진다. 당연히 생각 과잉이 더 심해지는 악순환에 빠진다. 생각을 씹고 또 씹어보지만 문제 해결은 되지 않을 뿐더러 불안만 높아진다. 다시 말해 정말 나쁜 이야기를 자신에게 들려주는 셈이다.(228)

 

 

선택 논제

 

1. 생각 과잉은 우리를 망친다. 신체에 미치는 영향과 정신과 심리에 미치는 영향 사회 활동과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고 말한다. 여러분은 여기에 동의하시나요?

 

심박수 증가, 두통, 메스꺼움, 근육 긴장, 피로, 입 마름, 어지러움, 호흡수 증가, 근육통, 떨림과 경련, , 소화 불량, 면역력 저하뿐만 아니라 기억력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생각 과잉은 에너지 소진과 극심한 피로, 초조, 긴장, 짜증, 집중력 저하, 의욕 저하, 성욕과 식욕 변화, 악몽, 우울증, 통제불능, 무관심등을 불러온다.

친밀한 관계가 벌어지고 업무 성과가 떨어지며 다른 사람들을 짜증스럽게 대하게 된다. 따라서 사회 활동에서 점점 멀어져 중독성 있거나 해로운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P.43-44)

 

동의한다

동의하지 않는다

 

2. 스트레스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여러분은 어디에 속한가요?

 

바빠서 괴로운 사람은 모든 사람의 부탁을 들어주고 많은 의무와 책임을 짊어지면서 괴로워하는 사람이다.

미루는 사람은 다른 종류의 어려움에 직면한다. 무엇이든 미루다가 결국 제때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다.

산만한 사람은 일단 시작은 하지만 다른 길로 빠지고 어느새 주의가 산만해진다.

과소평가하는 사람은 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잘못 판단해 실제 필요한 시간보다 짧게 잡는다.

불 끄는 사람은 사방에 을 질러놓고, 주로 상황이 위기에 치달았을 때 수많은 일을 한꺼번에 곡예를 부리듯 처리한다.

완벽주의자는 미루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P.98-101)

 

 

 

3. 인생을 낭비하지 않는 생존전략 중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통제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통제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한다.

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한다.

갖지 못한 것이 아니라 가진 것에 집중한다.

과거와 미래가 아닌 현재에 집중한다.

원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것에 집중한다.(P.207-216)

 

 

 

 

 

토론에서 인상 깊었던 한 마디와 토론 소감을 나눠봅시다.

 

 

공공누리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생각 중독』'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0 / 500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