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인문 소모임

인문360°는 여러 인문소모임의 주체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리 소모임의 활동을 아카이빙하며 인문의 가치를 누리고 함께 소통하세요!
*게시판 관련 문의: inmun360@arko.or.kr

백양사 탐방

2024-09-15

뱀이야기

 남도학 강의에서 장성의 백양사로 현장학습을 다녀왔다.

백양사 성보고불박물관을 먼저 소개하였다. 

오늘은 백양사를 소개하며 백양사가 가지고 있는 보물들을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대한불교 조계종 18교구 본사인 백양사는 1400여 년 전 백제무왕 33년에 여환선사가 창건한 고찰이다. 호남선 백양사역의 이름이 이 절에서 유래되었다.

  절 안으로 들어가 대웅전을 보는 순간 하늘 높이 솟아 있는 백암산 백학봉의 기암괴석이 한 눈에 들어온다. 그 기상과 기운을 한껏 느낄 수 있었다.

   본래 이름은 백암사였고 고려 덕종 31034 중연선사가 크게 보수한 뒤 정토사로 불렸다조선 선조 때 환양선사가 영천암에서 금강경을 설법하는데 수많은 사람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고 한다. 법회가 3일째 되던 날 하얀 양이 내려와 스님의 설법을 들었고, 7일간 계속되는 법회가 끝난 밤 스님의 꿈에 흰 양이 나타나 '나는 천상에서 죄를 짓고 양으로 변했는데 이제 스님의 설법을 듣고 다시 환생하여 천국으로 가게 되었다'고 절을 하였다 한다. 이튿날 영천암 아래에 흰 양이 죽어 있었으며, 그 이후 절 이름을 백양사라고 고쳐 불렀다.

  호남 유일의 거찰이었으나 불타버렸고 고종 원년1864 도암선사가 재건하고, 1917년 송만암宋曼巖선사가 개축했으며, 다시 배학산裴鶴山선사가 크게 개수하여 완성하였다.

  일제강점기 31본산 중 하나 였으며, 현재 부속 말사 26개소를 관장하고 있다. 상주 교직자가 80여 명이며, 신도수가 3,500여 명이 된다.

  보유 문화재로는 극락보전(지방문화재 제32:조선 중기 건축물, 백양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대웅전(지방문화재 제43:1917년 건축), 사천왕문(지방문화재 제44:1985년 복원), 소요대사부도(지방문화재 제56:1650), 청류암(문화재자료 제179:1350년 건축), 백양 법계비(백양사 입구 좌우에 2기의 석비), 진영각(정면 4칸의 단층 맞배지붕으로 우측 1칸은 칠성전으로 되어있고 현재 역대 스님들의 영전이 봉안되어 있다), 蔓庵이라 쓰여진 김정희의 친필 등이 있다.


IMG_2760IMG_2765

IMG_2756

 

공공누리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백양사 탐방'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0 / 500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