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인문 소모임

인문360°는 여러 인문소모임의 주체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리 소모임의 활동을 아카이빙하며 인문의 가치를 누리고 함께 소통하세요!
*게시판 관련 문의: inmun360@arko.or.kr

하의도 김대중 유적지를 다녀오다

2024-10-20

뱀이야기

올해가 김대중 대통령의 탄생100주년 기념해다. 

목포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운영한 '2024 남도학 특화과정'을 신청하여 하의도를 답사에 참여했다.  

김대중 대통령의 생가와 평화공원, 섬마을 교육의 산실, 덕봉강당과 유물전시관을 들러보고 대리마을을 산책했다. 그리고 하의도의 명소 큰바위얼굴도 보고 왔다. 

-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 

  전라남도 기념물 이다. 2024년 8월 1일 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25년 하의면 후강리 원후광에서 아버지 김운식과 어머니 장수금 사이에 3남2녀의 장남으로 태어낫다. 그의 호인 후광은 태어난 마을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태어난 생가는 터로만 존재하고 지금 생가는 유년기에 살던 집으로 1999년 종친들이 복원하여 신안군에 기증한 곳이다. 생가 내에 추모관이 마련되어 있다.

  

- 평화공원:

  생가 주변은 평화공원이 있고 하의 해양테마파크로 다양한 고원시설이 조성되었다. 또한 한반도 평화의 숲도 조성되고 있다. 이곳을 신안군에서는 역사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대한민국 정치역사 아카이브홀, 한반도 평화의 숲 등과 연계해 세게적인 평화의 성지로 만들어 가겠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 덕봉강당:

 김대중 전 대통령은 사망하기 전에 어린 시절 자신의 스승이었던 초암 김연의 덕봉강당을 방문하였다. 이분이 나를 가르쳤다고 회고하였다고 한다.  덕봉강당에는 스승인 김연 선생이 평생 수집하고 후학을 지도하는데 활용한 시적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이곳 서당에 다니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스승의 독서하는 습관과 선비로서의 정신을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큰 바위 얼굴:

   하의도 남서쪽에 자리하고 있는 '죽도'라는 무인도이다. 섬 오니편의 모습이 마치 사람 얼굴을 하고 있어 '큰 바위 얼굴'이라고 부른다. 큰바위는 하의도가 배출한 큰 인물 김대중 전 대통령을 상징한다고 한다. 실제 직접 보니까 섬의 옆모습이 사람의 얼굴과 거의 같았다. 

  과거에는 이곳을 사자바위라 부르기도 했는데 이와 관련되어 재미있는 설화도 전해온다.

 

IMG_4659 

공공누리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하의도 김대중 유적지를 다녀오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0 / 500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