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을 다했는데도 자꾸 일이 꼬이고 나쁜 결과가 생길 때
2025 인문문화 프로그램 통합공모
인문키워드 큐레이션: 정진하는 삶
인문 인사이트 "행복의 조건"
4월 PICK! 콘텐츠  

| 머피의 법칙

 

2025년 4월 호의 주제는 머피의 법칙입니다.

 

잘해보려고 최선을 다했는데도 자꾸 일이 꼬이고 나쁜 결과가 생길 때를 가리키는

머피의 법칙

최선을 다할 때 오히려 더 크게 좌절하는 모순으로 뒤덮인 삶의 연속에서 우리는 ‘불행’을 

바라보고 ‘행복’을 찾게 됩니다. 

도서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의 저자는 우리는 너무 쓸데없이 불행하고 너무 복잡하게 

행복하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은 것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구독자님들의 불행과 행복은 무엇인가요? 인문레터에서 전하는 콘텐츠를 통해 구독자님들의 일상 속 행복을 되돌아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문360° 드림

 

| 인문문화 프로그램 및 일정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2025년 인문정신문화 사회적 확산 사업 추진을 위하여 올해 통합 공모를 진행하오니 각 사업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 이미지를 클릭해 주세요. *모든 공모는 마감일 15시까지 접수합니다.
| 지관서가 '인문행복센터' 개관 (4.24)

止觀書架 지관서가

 

잠시 분주한 일상을 멈춥니다.

고요한 마음으로 지혜의 눈을 떠

나와 세상을 바라보는 곳

 

다가오는 24일 수원울진에서 만나요.
인문키워드 큐레이션
· 정진하는 삶 ·
 
세상이 어지럽고 시국이 불안정해도 삶은 계속된다.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이나 경제위기가 찾아오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현실은 우리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처럼, 우리는 삶을 일궈나가야 한다. 그렇게 자기의 일을 하고, 일상을 다지면서 ‘정진’하는 삶엔 힘이 있다.
 
문화평론가 정지우
· 부러진 세상을 건너는 법 ·
 

삶에 서툴고 좌절을 거듭하지만 그렇다고 그런 삶을 끝낼 수도 없는 이들의 이야기는 바로 나와 내 가족의 이야기이기도 했다.

 
 

“가보지 않았으니까 가보는 것이지요.” 간다 미치오의 말처럼, 어쩌면 우리 인생에는 이처럼 단순한 의지가 다시 필요한지도 모르겠다.

 
인문 인사이트
· 행복의 조건 ·
 

최근 사회의 발전과 지속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로 행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12년 유엔이 매년 3월 20일을 '세계 행복의 날'로 지정한 이래, 지난 10년간 행복에 관한 학계와 대중의 관심이 놀랄 만큼 커졌으며, 각국 정부 역시 국가 발전의 기준을 물적 성장에서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로 확장하고 국정 운영에 반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임에도 국민의 행복 수준은 OECD 최하위권이라는 사실이 매년 지적됩니다. 그러나 행복을 실질적 정책 목표로 다루기에는 개념의 모호성과 측정 방법에 관한 합의의 부족이 하나의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호 인문 인사이트에서는 행복의 개념과 결정요인, 한국인의 행복 수준과 국가별 행복 정책의 사례를 살펴보고, 정책적 목표로서 행복의 중요성을 짚어보고자 합니다.

 

| 4월의 PICK !
 
3월 '함께하는 행복'에 이어 4월은 '머피의 법칙'을 주제로 돌아왔습니다.
 
4월의 PICK! 은 함께하면 좋을 인문360 콘텐츠와 전시 및 도서입니다. 원하는 콘텐츠를 클릭해 주세요! 5월에는 어떤 주제로 찾아올까요? 봄날 같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인문360° 올림
 
인문문화프로그램은 아래 단체와 함께합니다. 
대표메일 inmun360@arko.or.kr
Copyright 2025 Arts Council Korea.
All Rights Reserved.
* 본 메일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신동의를 얻어 발송되었습니다.
* 본 메일을 받지 않으시려면 수신거부를 눌러주세요.